본문 바로가기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합격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는 기사 1, 3회차만 보는 시험인 것 같다.

정보처리기사를 소지할 경우 3(전자계산기구조), 4(운영체제) 과목을 면제해 준다. 유리한 과목들을 면제해줘서 면제를 안받을까 했엇는데 귀찮아서 그냥 면제 받았다.

정보처리기사와 동일한 종목의 자격증으로 관련학과가 전학과이다. 4년제 졸업자라면 누구나 볼 수 있다.

삼송역 부근의 학교에서 응시했었는데 응시자가 4명 정도??

그래서 정보처리기사 보는 교실에서 같이 꼽사리 껴서 시험을 보는데, 그 중에서도 3명은 면제 과목 응시자라 45분인가 지나고는 동시에 전원 퇴실했다..

별도의 공부 없이 기출 문제를 약 6회분이나 풀고 갔는데.. 불필요하게 많이 푼 느낌이다.. 반절만 풀어도 될 듯..


※ 응시과목

1. 전자계산기프로그래밍 : 80

- 이 과목은 "C언어 + 어셈블리 + 프로그래밍 언어론(컴파일러, 객체지향)" 정도로 구성된 과목이다.

  컴공 출신들이 느끼기엔 가장 쉬운 과목이라 생각되며 별도로 공부할 필요없이 기출문제에 충실하기만 하면

  된다. (익숙한 사람들은 구지 공부 안해도 된다는 뜻)


2.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 : 85

- 이 과목은 데이터 통신(10문제) + 자료구조 / 데이터베이스(10문제) 로 구성된 과목이다.

- 데이터 통신은 접한지 너무 오래되서 기억 떠올리며 풀었는데.. 기출에만 충실해도 충분히 맞는 과목이다.

  자세한 공부보다는 단답형 객관식 문제의 특성에 맞춰 특정 기술에 대한 특징과 장단점 정도만 하면 다 맞을것

  같다.

- 데이터 통신이 전자계산기기사에서는 데이터 통신이 별도 과목인데 시간이 되면 William Stallings 책이나

  Forouzan,Behrouz 책을 보고 싶지만 시간 상 1학년 때 데이터 통신 교양 수업 시간에 썼던 책이랑 기출 위주로

  훑어보고 갈 생각이다. (물론 기출보고 너무 쉽다 싶고 시간도 부족하고 하면 기출만 보고 갈 것 같다.)

- 자료구조는 너무 간단한 부분만 나오기에 언급할 가치가 없다.. 주요 특징으로는 버블 정렬을 앞에서 부터 한다는 것이고, 알아야 될 것은 트리의 전위/후위 순회랑 수식의 전위/후위식으로 바꾸는거 정도?? 트리가 선형 자료구조가 아니라는거.. 이정도만 알고가도 다 맞을거 같다.

- 데이터베이스는 정말 딱 이론적인 간단한 부분만 나온다. 기출 참고하면 다 맞음.


3. 전자계산기구조 : 면제

- 한번도 풀어본 적은 없지만 나오는 내용보면 딱 컴구조1 과목 내용이다.

- 전자계산기기사에서도 겹치는 과목인데 Morris Mano의 디지털 논리와 컴퓨터 설계 책을 보고 갈 예정이다.

  기출만으로도 충분하고 구지 공부 안해도 되지만 이번 기회에 제대로 해놓고 싶다.

  추가적으로 논리회로 과목은 Morris Mano의 디지털 디자인 책을 지금 연습문제까지 풀고 있는데..

  너무 빡쎄다 ㅠㅠ 간단한 하드웨어는 설계할 수 있도록 기초부터 제대로 해 볼 생각이다.


4. 운영체제 : 면제

- 이 과목도 한번도 풀어본 적은 없지만 전형적인 OS 문제들만 나온다.


5. 마이크로전자계산기 : 65

- 이 과목 때문에 면제 과목을 신청할까 말까 고민했었는데.. 그냥 40문제 더 풀기 싫어서 면제 과목 신청을 했다.

  딱히 별도로 공부할 서적은 없는걸로 알고 있다. 내용은 컴구조1 + α 인데 너무 오래된지라..

  컴구조2 공부했던 기억 떠올려가면서 기출 풀어보고 들어갔는데.. 중요한건 기출에서 그리 안나온다는 사실이다.

  기출에서 거의 안나와서 과락 나는 줄 알고 깜짝 놀랐는데 다행히 찍은것들이 잘 맞아줬다. 컴퓨터 공부

  오래하다보니 찍는것도 그럴싸하게 찍는듯.. 카페에서 보니 이 과목에서 과락나는 사람이 꽤나 있는 것 같았다.

- 전자계산기기사에서도 존재하는 과목으로 전자계산기구조 과목과 거의 겹칠테니 그 과목 중심으로 하고 기출로

  보충하는 식으로 공부할 예정이다.


= 평균 : 76.66 (여느 자격증과 똑같이 평락이 60이고 과락이 40이다.)


※ 결론 : 1, 2 과목은 기출로만 떼우는게 현명하고, 5과목은 컴구조 계통이 익숙하지 않을 경우 별도로 공부를 하는것이 나을것 같다. (이런 자격증 재수하면 안되니까)

정보처리기사와는 비교를 못하겠다.. 딴지도 너무 오래됐고 정보처리기사는 과목이 전부 컴공의 3학년 과목이라 4학년 때 공부도 안하고 과목이 뭔지도 모르고 그냥 가서 보고 붙었다.. 이 자격증도 컴공 출신들은 그냥 가서 보면 붙을 것 같다.

기사 자격증 갯수 늘리기용이랑 전자계산기기사 준비용으로는 괜찮은 자격증 같다..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출제기준(2011년부터 적용).hwp


※ 파일 출처 : Q-Net